생각이란 안간힘 같은 것이었다. 어떤 생각이 든다고 그 생각을 말이나 행동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고 버텨보는 것. 말하고 싶고 하고 싶다고 바로 말하거나 하지 않고 버텨보는 것. 그는 그것을 덜 할 뿐이었고 그게 평범한 사람들이 하는 일이었다. 평범한 사람들이 매일 하는 일.(70쪽)
*
아무도 덮고 자지 않은 이불 냄새를 한영진은 좋아했다. 그 냄새는 뭐랄까, 단일했다. 알이라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세상에 나타난 큰 새, 먹지도 자지도 않고 딱 십분 동안 존재하다가 사라지는 새, 세상에 그런 게 있다면 그 새의 날기깃 냄새가 이럴 것 같았다. 한번이라도 사람이 덮고 잔 이불의 냄새는 이렇지 않았다.(71쪽)
*
잘 살기.
그런데 그건 대체 뭐였을까, 하고 이순일은 생각했다. 나는 내 아이들이 잘 살기를 바랐다. 끔찍한 일을 겪지 않고 무사히 어른이 되기를, 모두가 행복하기를 바랐어. 잘 모르면서 내가 그 꿈을 꾸었다. 잘 모르면서.(138쪽)
*
어른이 되는 과정이란 땅에 떨어진 것을 주워 먹는 일인지도 모르겠다고 하미영은 말했다. 이미 떨어져 더러워진 것들 중에 그래도 먹을 만한 걸 골라 오물을 털어내고 입에 넣는 일, 어쨌든 그것 가운데 그래도 각자가 보기에 좀 나아 보이는 것을 먹는 일, 그게 어른의 일인지도 모르겠어. 그건 말하자면, 잊는 것일까.(146쪽)
*
나쁜 걸 나쁘다고 말하고 싶을 뿐인데 애를 써야 하고, 애쓸수록 형편없이 지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.(168쪽)
*
그렇게 하지 않아도 삶은 지나간다 바쁘게.
...
울고 실망하고 환멸하고 분노하면서, 다시 말해 사랑하면서.(182쪽)
'기억할만한지나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후밀 흐라발, 《너무 시끄러운 고독》, 문학동네, 2016. (0) | 2025.01.21 |
---|---|
배수아 - 모공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대사...하이너 뮐러의 희곡은 "읽어야" 한다 (0) | 2025.01.20 |
배수아 - '내 이익을 해치는 자는 죽여도 좋다'는 나치즘을 고발했다 금서가 된 '이 책' (0) | 2025.01.19 |
배수아 - 조현병 아들, 떠나간 애인…브라질의 ‘여성 카프카’는 고립 속에 이 신비한 소설을 썼다 (0) | 2025.01.18 |
배수아 - 애국자들이 증오한 작가 베른하르트...공포·환각·독설 아래 그가 숨긴 것은 (0) | 2025.01.17 |